
1. ListView와 Column의 차이 - ListView는 많은 위젯들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백엔드 호출이나 API 호출과 같이 데이터를 반환하는 용도로 최적화되어 있다. - Column은 앱 위젯의 메인 구조와 같은 것에 사용되며, 여러 섹션을 쌓거나 세 개의 위젯을 쌓을 때 사용된다. - ListView에서는 화면에 보이는 위젯만 마운트되고 그려지는 반면, Column에서는 모든 자식 위젯이 마운트되고 그려진다. 2. ️Flutter ListView의 활용법과 옵션 설명 - ListView를 사용하여 스크롤 가능한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axis 옵션은 리스트의 자식 위젯들이 *세로(Column) 혹은 가로(Row)로 배열*되는지 결정합니다. - 기본적으로는 세로로 배열되는데..

스택 | FlutterFlow 대학 1. ️Stack 위젯을 사용하여 위젯을 쌓아 올리거나 겹쳐서 배치할 수 있다. - Stack 위젯은 위젯들을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Stack은 행 또는 열과 같이 옆으로 배치하는 것이 아닌, 위젯들을 *서로 겹쳐서 배치*한다. - Stack 위젯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스택 순서*인데, 보이는 순서와 반대이다. 즉, 맨 아래에 있는 위젯이 위로 가는 것이다. - Stack 위젯에는 자식 위젯이 *맨 위부터 추가되는데*, 이는 실제로는 맨 아래에 나타난다. 2. Flutter에서 Stack 위젯을 사용하여 Container 위젯이 쌓이는 과정 설명 - Flutter에서 Stack 위젯은 크기가 없으므로, 자식 위젯의 크기..

컨테이너의 역할은 무엇이 있나요? 컨테이너는 배경 스타일링 및 레이아웃에 자주 사용되며, 대개 컬럼, 로우 또는 그리드가 포함돼요. 배경색, 테두리, 모서리 둥글기, 테두리 색상 등 스타일링 가능하고, 박스 그림자, 네모 그림자 또는 elevation이라고도 하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드롭 샤도우, 그라데이션 또는 배경 이미지도 넣을 수 있어요. 섹션, 카드 또는 기타 콘텐츠를 스타일링하려면 이를 컨테이너로 감싸시면 됩니다. 배경 스타일링 예시에서 그라데이션 기능 설명 그라데이션이 적용된 배경 예시를 보여드리며, 각각의 색상 전환 지점을 0~1 사이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답니다. 그림자도 추가 가능하며 디자인 요소에 따라서 각각의 스타일을 다르게 지정할 수 있어요. 특히, 그라데이션 옵션에서는 각도를 조절하..

위젯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align 속성의 역할은? 위젯을 원하는 위치로 정렬하기 위해 align 속성을 사용해요. 이 속성은 부모 컨테이너 안에 있는 위젯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CSS의 absolute positioning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어요. 부모 컨테이너는 전체 너비와 높이를 차지하고, 그 안에는 100 x 100 크기의 컨테이너가 있으며, 정렬 속성은 upper left로 설정되어 있어요. 이렇게 설정된 속성을 조정하면 위젯을 그리드 안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조정된 값들은 실시간으로 변합니다. 또한, 이 값들을 수동으로 편집하여 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요. 2D 그리드를 사용하여 레이아웃 위치 지정, align 속성이란? 2D 그리..

FlutterFlow의 숨겨진 위젯이란? UI Builder에 표시되지 않는 '패딩(padding)', '확장(expansion)', '정렬(alignment)'과 같은 속성은 실제로는 위젯이에요. Flutter에서는 위젯을 컨테이너 내부에 래핑하여 표현하고, FlutterFlow에서도 이런 위젯을 숨기는 대신 속성으로 노출시켜 사용성을 높이고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제공하는 거에요. FlutterFlow의 위젯 트리 작업의 효율성은 어떻게 증가하나요? 위젯 트리에서 위젯들을 찾고 변경하기 어려워지고, 위젯을 드래그하고 재정렬할 때 지저분해질 가능성이 있어요. FlutterFlow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젯들을 속성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작업을 정리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특히 ..

웹 레이아웃의 중요한 원칙은? FlutterFlow에서 가장 중요한 레이아웃의 원칙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제약은 아래로, 크기는 위로라는 원칙이 있어요. 이를 암기하면 레이아웃을 마스터할 수 있습니다. 이 원칙은 '제약은 아래로'와 '크기는 위로'라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부모 위젯이 위치를 결정합니다. 제약은 높이와 너비의 최소 및 최대 값으로 전달되며, 부모에서 자식으로 내려갑니다. 이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자식에 적용되는 제약은 기본적으로 최소 너비 0부터 최대 너비 100, 최소 높이 0부터 최대 높이 100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컬럼이나 로우 등을 사용하여 고정된 값으로 디자인하지 않고, 화면 크기에 대응합니다. 스크롤되는 레이아웃은 'unbounded' 상태를 가지며, 제약의..